본문 바로가기

프레스센터/칼럼/기고

[전북일보] 세계문화유산 등재, 관광산업 도약 기대

 

7월 초 여러 가지 안팎의 문제로 정치권이 시끄러웠던 와중에 지역으로부터 낭보가 날아왔다. 백제유적지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확정된 것. 이는 백제를 마지막으로 삼국시대의 문화유적이 모두 세계적 인정을 받았다는 역사적 의미에 더해 전북과 충남을 잇는 서부권역 관광산업 도약의 획기적 발판이 마련됐다는 경제적 함의를 동시에 갖고 있다.

백제유적지구 중심 관광인프라 구축

전북도가 백제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 효과에 관해 외부에 의뢰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향후 증가하는 관광객 소비 지출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529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에 전북도는 6987억 원 규모의 종합계획을 수립해 익산의 백제역사지구를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백제유적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고 해서 이 같은 기대들이 하루아침에 실현되는 것이 아니다. 우선은 행정구역의 경계를 뛰어넘는 거시적 차원의 청사진이 필요하다. 관광객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행정구역이라는 건 의미가 없다. 오히려 익산의 관광자원이 잘 갖춰져 있다 하더라도 다른 지역과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없거나 근거리에 함께 즐길 수 있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면 익산의 매력은 반감될 것이다. 백제유적을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와 연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관광벨트산업이나 전국의 세계유산을 테마로 엮는 사업과 같이 행정구역을 뛰어넘는 권역별 혹은 광역 프로젝트가 필요한 이유다. 특히 현재 별다른 구심점이 없는 서부내륙권관광산업은 백제유적지구를 중심으로 한 권역단위의 인프라를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가에 사활이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중요한 것이 지역적 차원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단계적 전략이다. 당장 관광객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이 관광객들을 수용할만한 숙박시설이나 여가 문화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 게 지금의 현실이다. 특히 하드웨어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은 직접적 예산 투입의 문제이기 때문에 훨씬 더 지난한 과정을 요구한다. 익산국립박물관의 경우 사리장엄 발견 이후부터 승격 논의가 나오기 시작해 필자가 예결위 간사를 맡아 문체부의 강력한 반대를 꺾고 작년에 예산을 반영하기까지는 5년이 넘게 걸렸다. 고도보존육성사업 역시 고도 지정 이후 시설물의 유지보수만 가능했던 것을 고도이미지사업이라는 별도 계정을 마련해 적극적 예산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만든 것도 수년 간 끈질긴 노력의 결과물이었다. 그럼에도 지역의 관광산업 인프라는 턱없이 빈약한 수준이다. 필자는 바쁜 마음에 이번 세계문화유산 등재라는 경사를 지역차원에서 어떻게 동력화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주관부처는 물론 시와 도를 비롯해 각계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만큼 다양하고 실질적인 접근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민들 적극적 성원·지지 필요

침체돼 있던 전북 관광산업에 드디어 도약의 기회가 찾아왔다. 때맞춰 개통한 호남 고속철도 그 효과를 배가시켜 줄 것이다. 그러나 가만히 앉아서 감 떨어지기만을 기다렸다가는 그 단맛을 영원히 못 볼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는 지역의 경계를 아우르는 큰 그림과 지역적으로는 주도면밀한 실천 전략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도민들의 적극적 성원과 지지가 있다면 금상첨화가 될 것이다. 필자 역시 예산 확보를 위해서라면 누구보다도 먼저 발 벗고 나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