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레스센터/칼럼/기고

[전북일보]지역개발의 주인은 주민이다

"새로운 도시 모델을 찾아야 한다"

지역발전의 청사진을 생각할 때마다 떠나지 않는 고민이었다. 결국 도시와 농촌이 서로의 장점을 가지고 상생할 수 있는 도농복합도시에 해답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막연했다. 그래서 18대 국회 마지막 지역 토론회 자리에서 이 화두를 새롭게 던졌다.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도시공학 전문가도 삼고초려 끝에 모셨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전국에 산재한 수십 개의 도농복합도시들로부터 성공사례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한 번의 토론회로 쉽게 길이 보일 거라는 생각은 애초부터 없었다. 다행히 19대 국회에서 새롭게 포문을 연 후속토론회를 계기로 논의를 계속 진행시킬 수 있었다. 오늘 그 세 번째 토론회가 익산에서 열린다. 주제는 ‘익산의 균형발전을 위한 권역별 특화전략’. 빨리 가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함께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서울도 처음부터 서울은 아니었을 것이다. 도시도 살아있는 생물처럼 명멸을 거듭한다. 때문에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거주하는 세계 어디에나 쇠락한 도시와 불모의 황무지를 어떻게 살려낼 것인지에 대한 시도들이 활발하다.

그러나 그러한 시도들이 다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경기도 수도권 일대 대다수의 신도시들과 지방 주요도시의 인근 지역들은 마구잡이식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원주민들은 원주민대로 삶의 터전을 상실하고 새로 이주해 온 주민들 역시 허허벌판에 덩그러니 솟아있는 고층빌딩에 황당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렇게 사업성에만 혈안이 된 콘크리트식 개발방식의 바닥을 보여준 결정판은 단군 이래 최대 규모라는 용산개발사업의 디폴트 사태였다. 그러나 설령 이 사업이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그로 인해 진짜 단맛을 보는 사람들은 개발업자와 투기꾼들뿐일 것이다. 하여 지역 개발이나 도심 재생의 패러다임은 이제 바뀌어야 한다.

 

그렇다면 성공적인 개발사례들은 어떤 경우인가? 우선 도시 재개발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는 일본의 롯폰기힐스나 뉴욕의 배터리파크가 유명하다. 지역의 특색을 살려내 생태도시, 문화도시, 교육도시, 농업혁신도시 등으로 성공한 사례들도 세계 각국에 얼마든지 많다.

이 모든 사례들의 하나같은 공통점은 바로 주민들의 의사와 참여를 기반으로 했다는 것이다. 도시 재개발에 성공한 앞선 두 도시의 경우 지역주민들의 동의를 구하고 그 의견들을 모두 반영하기 위해 십 수년의 시간을 할애했다. 한발 더 나아가 지역 특화 전략에 성공한 유수한 사례들의 뒤에는 ‘참여’라기 보다는 사실상 ‘주도’적인 역할을 한 주민자치의 힘이 있었다.

결국 지역개발의 승패는 주민들의 의사를 얼마나 충분히 반영하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얼마나 잘 이루어지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라 하겠다.

 

지방균형발전에 대한 당위는 다시 언급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지방의 균형발전이라는 것이 지방을 서울의 복사판으로 만드는 일은 아닐 것이다. 전주는 전주답고 익산은 익산다운 특화전략이 필요하다.

아직 큰 얼개 상태이지만 익산의 경우 도심권은 역세권 복합개발과 문화예술의 거리 조성, 벤처기업을 육성하면서 재생 전략을 세우고 자연생태권은 황등호를 되살리는 한편 금강권은 녹색 바이오 관광지대로 조성하는 등의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또한 문화역사권역은 고도육성을 통해 익산을 명실상부한 역사문화도시로 조성하고자 하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이와 같은 내용들을 담아 연이어 열고 있는 토론회들은 지역주민들과 함께 가기 위한 일종의 마중물이다. 중요한 것은 이 마중물이 그대로 말라버리지 않고 깊은 샘물을 길어 올리려면 부지런한 펌프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리 지역을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바꾸어나갈 것인지에 대한 시민들의 고민과 열의가 절실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