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1] [프로필] 이춘석 국회 기재위원장…'당-청 가교' 3선 20대 국회 후반기 두번째 기획재정위원장으로 선출된 이춘석(56·전북 익산시갑) 의원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당과 청와대 사이 가교역할을 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3선 의원이다. 이 신임 위원장은 1963년 전북 익산 출신으로 같은 지역 황등초, 남성고를 졸업한 '익산 토박이'다. 이후 한양대 법학과에 입학해 지난 1987년 학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사법시험(30회)에 합격한 뒤 2008년 한솔종합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원광대 법학과 겸임교수를 지내며 군산익산범죄피해죄지원센터 이사, 전라북도 교육청 고문변호사, 익산시 배구협회 회장 등 지역에서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을 벌였다. 지난 2008년 총선에서 전북 익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해 처음으로 국회에 입성한 뒤 같은 지역에서 내리 3선을 했다... 더보기
[이데일리] 이춘석 기재위원장 “삼성도 치킨집 사장님도 공생해야”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춘석 신임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이 “지금 경제 상황에 대해 여러 진단과 해결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분명한 것은 공생의 사회로 나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28일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본회의에서 기재위원장으로 선출된 후 “기재위원장이란 막중한 책무를 맡겨줘 진심으로 감사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같은 당 정성호 의원에게 바통을 넘겨받은 이 위원장은 20대 국회가 끝나는 내년 4월까지 기재위를 이끌게 된다. ‘공생의 사회’를 강조한 이 위원장은 “삼성 반도체도 살리고 현대 수소차도 살려야 하지만 치킨집 및 골목상권 사장님도 살려야 한다”며 “정규직도 나아져야 하지만 편의점 아르바이트, 비정규직 처우개선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후략) ☞[기사전문 바로가기] 더보기
[연합뉴스] 與 유일 호남 3선 이춘석 기획재정위원장 변호사 출신으로 더불어민주당 내 유일의 호남 3선 의원이다. 1988년 사법시험 합격 후 1994년 당시 '무변촌'(변호사 없는 지역)이었던 전북 익산에서 1호 변호사 사무실을 내고 무료 변론 등 지역 활동에 앞장섰다. 18대 총선 당시 전북 익산갑 지역구 의원이었던 한병도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공천에서 배제되자 경쟁자들을 누르고 공천을 받아 여의도에 입성했다. 18대 국회에서는 '법제사법위원회 4인방'으로 당시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자 낙마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20대 국회에서도 법사위에서 활약했다. 2015년 문재인 대표 체제 출범 후 당 전략홍보본부장을 맡는 등 당무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19대 대선에서는 선거대책위원회 공동특보단장으로 문 대통령의 당선에 기여했고, 대선 후에는 당 사무총장을.. 더보기
[머니투데이] 이춘석 신임 기재위원장 28일 신임 기재위원장으로 선출된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북 익산 출신의 3선 의원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원내 비서실장을 역임하며 대통령의 당선을 도왔다. 변호사 출신으로 원광대 법학과 겸임교수를 지내다 18대 때 처음 국회에 입성해 원내부대표와 대변인을 맡았다.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주로 활약하며 19대 땐 간사를 맡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맡았을 땐 전략홍보본부장을 맡았다. 지난해엔 사무총장으로 활약했다. 합리적인 성향이 장점으로 꼽힌다.....(후략) ☞[기사전문 바로가기] 더보기
[아시아뉴스통신] 익산시, ‘홀로그램 기술개발 사업’ 본격 추진 전북 익산시와 전북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홀로그램 기술개발 사업’이 27일 KISTEP(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시행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최종 통과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고 28일 밝혔다. 익산시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전북도(익산시), 경상북도(구미시)가 유기적인 공조체계를 구축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한 결과 지난해 12월 기술성 평가 통과에 이어 6개월 만에 경제성 평가 등을 통과하는 쾌거를 이뤘다. 특히 이춘석 국회의원은 홀로그램 포럼 개최와 부처 관계자들에게 사업의 타당성, 필요성 을 설명하는 등 사업 추진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활동을 펼쳤다. 예타 통과에 따라 총 사업비 1817억 8천만 원이 투입돼 오는 2020년부터 2027년까지 8년간 5대 핵심기술 개발(1505억 6천.. 더보기